요인分析(factor analysis)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03 22:37
본문
Download : 요인분석(factor analysis).hwp
요인分析(분석)은 변인들의 상관행렬을 분해하여 요인행렬을 만들어내는 것에서 스타트한다.
1) 주成分分析(분석)
Ho…(skip)
Download : 요인분석(factor analysis).hwp( 71 )
레포트/기타
_hwp_01.gif)
_hwp_02.gif)
_hwp_03.gif)
_hwp_04.gif)
_hwp_05.gif)
_hwp_06.gif)
다. 즉, 요인分析(분석)법은 상관행렬의 대각선원소에 무엇을 넣느냐와 관련되어 있따
요인分析(분석)법을 주成分分析(분석), 공통요인分析(분석), 최대우도요인分析(분석)으로 나누어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변인들이 표준화되어 있다면 각 변인의 변량은 1이 되고, 이는 곧 상관행렬의 대각선원소가 된다(결국, 표준화된 변인에서 상관행렬과 분산-공분산행렬은 동일하다). 그런데,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한 변인의 변량은 공통성과 고유성으로 분해된다 따라서 공통요인을 分析(분석)하기 위해서는 상관행렬의 대각선원소에 1대신 공통성(공유변량)을 넣어주게 된다(공통성은 항상 1보다 작다). 이와 같이 상관행렬에서 대각선원소에 공통성이 들어간 행렬을 축소된 상관행렬이라 한다.
,기타,레포트
요인分析(factoranalysis)
요인분석(factoranalysis) , 요인분석(factor analysis)기타레포트 ,
설명
요인分析(factor analysis)
순서
Ⅰ. 요인分析(분석)의 개념(槪念)
Ⅱ. 요인分析(분석)의 논리
4. 요인分析(분석)의 방법
요인分析(분석)법은 크게 成分을 分析(분석)하는 방법과 공통요인을 分析(분석)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따 成分分析(분석)은 대각선원소가 1로 구성된 원상관행렬에서 직접 추출하는 것으로 ‘observe된 변인들의 선형조합’이라 할 수 있따 이에 반해 공통요인은 가설적구인, observe할 수 없는 구인을 말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요인’이라 말할 때 이는 공통요인을 지칭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