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t]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4 14:15본문
Download :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hwp
우리나라는 2007년 도입 로드맵을 발표, 2009년부터 2011년까지 순차적으로 국내 상장기업에 적용하기로 했다. 일부 기업들은 기업 내부에 법률 및 세무전문가를 채용, 회계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최대한 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재무구조를 좋게 하면서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 하는 연구를 지속해 왔다. 그러나 광범위한 시가주의 적용으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아 또한 단순히 회계분야만의 變化가 아닌 조직 및 시스템 전반에 중대한 effect을 주기 때문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아
2. 국제회계기준(IFRS)과 한국회계기준(GAAP)의 차이
다.
Download :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hwp( 70 )
그간 일부 기업은 ‘적법한 탈세’의 전문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원칙중심은 ‘예시주의’이지만 key point(핵심) 은 기본취지를 지키라는 데 근본 차이가 있다아 법(규정)은 규정대로 행하면 불리한 적용을 하지 않는다는 ‘최소한의 순응’을 원칙으로 한다. 열거된 것만 하거나 하지 말아야 한다. 그렇게 법망을 교묘히 빠져나간 후 “안된다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이 않느냐”고 따지면 그만이었다. 이러한 부작용은 ‘규정’중심의 현행 회계기준(GAAP)의 맹점으로 지적돼 왔다. 과거 국내의 회계기준은 미국식으로 규정을 나열하는 방식이었다. 기존 회계기준에서는 규정 중심이기 때문에 ‘성문화’된 조항에 어긋나지만 않는다면 어떤 일이든 가능했다. 회계 투명성뿐만 아니라 한국의 재무보고와 자본시장 체계를 국제적 수준으로 높이는 계기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된다. 그리고 감독당국은 그런 편법이 발견될 때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으로 새로운 규제 조향을 추가했다. 기존 회계기준에서는 규정 중심이기 때문에 ‘성문화’된 조항에 어긋나지만 않는다면 어떤 일이든 가능했다. 그렇게 법망을 교묘히 빠져나간 후 “안된다는 조항은 어디에도 없이 않느냐”고 따지면 그만이었다.
▶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아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2784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C%9E%AC%EB%AC%B4%ED%9A%8C%EA%B3%84%5D%20%EA%B5%AD%EC%A0%9C%ED%9A%8C%EA%B3%84%EA%B8%B0%EC%A4%80%20-%20%EC%9B%90%EC%B9%99%EC%A4%91%EC%8B%AC-2784_01.jpg)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2784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C%9E%AC%EB%AC%B4%ED%9A%8C%EA%B3%84%5D%20%EA%B5%AD%EC%A0%9C%ED%9A%8C%EA%B3%84%EA%B8%B0%EC%A4%80%20-%20%EC%9B%90%EC%B9%99%EC%A4%91%EC%8B%AC-2784_02_.jpg)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2784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404/%5B%EC%9E%AC%EB%AC%B4%ED%9A%8C%EA%B3%84%5D%20%EA%B5%AD%EC%A0%9C%ED%9A%8C%EA%B3%84%EA%B8%B0%EC%A4%80%20-%20%EC%9B%90%EC%B9%99%EC%A4%91%EC%8B%AC-2784_03_.jpg)


그간 일부 기업은 ‘적법한 탈세’의 전문가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감독당국은 그런 편법이 발견될 때마다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식으로 새로운 규제 조향을 추가했다.
재무회계,국제회계기준,원칙중심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설명
[재무회계] 국제회계기준 - 원칙중심
순서
▶ 기업의 회계처리와 財務諸表(재무제표) 에 대한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 국제회계기준위원회에서 마련해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반면 IFRS는 원칙중심이다.
1. 국제회계기준(IFRS)이란?
財務諸表(재무제표) 의 작성 절차, 공시, 재무정보, 경영성과 지표 등 기업의 전반적인 재무보고 시스템과 회계 및 자본시장의 감독 법규 실무 등에 대한 국제적 기준을 규정한 국제회계기준(IFRS-International Financial Reporting Standards)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가 마련한 국제회계기준(IAS-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을 2003년부터 확대한 것으로 세계 증권시장과 투자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회계기준이 되었다.
규정중심 회계는 ‘열거주의’다. 일부 기업들은 기업 내부에 법률 및 세무전문가를 채용, 회계처리 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최대한 법을 어기지 않는 범위에서 재무구조를 좋게 하면서 세금을 줄일 수 있을까 하는 연구를 지속해 왔다.
이러한 부작용은 ‘규정’중심의 현행 회계기준(GAAP)의 맹점으로 지적돼 왔다. 즉 최소한의 것을 준수하면 법에는 저촉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한다. 명확해서 좋지만 법망을 교묘하게 피해 경영구조 왜곡 상속 문제와 같은 단점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