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개혁사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0-19 12:35
본문
Download : 종교개혁사_2027384.hwp
농민전쟁과 에라스무스와의 논쟁이 그것이다.
- 에라스무스의 글은 Diatribe: 서문: 보…(skip)
역사에 나타난 루터의 모습과 초기 강의들, 그리고 사면부 논쟁을 시작으로 보름스 제국의회, 예배의 개혁 영국 성공회 등 종교개혁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하였습니다. 루터의 대한 파문위협의 조서에 대해 날카롭게 비판했다(1520.6. Exsurge domine).
사람들은 에라스무스를 루터 편으로 이해했다(루벵, 홀란드, 파리, 스페인, 이탈리아). 에라스무스가 루터의 이름으로 글들을 써서 발표한 것이라는 풍문도 나돌았다.
루터는 에라스무스와 대학개혁에 관해서 1517년 이전부터 슈팔라틴(Spalatin)과 랑(Joh. Lang)을 통하여 편지교환을 했다. “왕들, 친구들이 모든 점에서 루터를 반박하는 글을 쓰라고 독촉했다”(1524.6.19).
- 1524. 9. 에라스무스는 루터를 반박하는 글 `자유의지에 관한 논문(Diatribe de libero arbitrio)`을 썼다. 또한 루터를 반박하는 글을 쓰라는 위협을 받고 있었다.
에라스무스가 1522.3.30 프리크하이머(Willibald Prickheimer)에게 쓴 편지: “루터란들은 비방으로 나를 위협하고, 황제는 내가 루터 소요의 모든 머리요 근원이라고 확신하고 있따”
에라스무스는 두 파로부터 모두 불신임 당하고 있었다.






Download : 종교개혁사_2027384.hwp( 29 )
종교개혁사
다.종교개혁사2 , 종교개혁사인문사회레포트 ,
설명
歷史(역사)에 나타난 루터의 모습과 초기 강의들, 그리고 사면부 논쟁을 스타트으로 보름스 제국의회, 예배의 개혁 영국 성공회 등 종교개혁사에 대하여 자세하게 설명(explanation)하였습니다.
루터에 대한 에라스무스의 견해: “소요”를 일으킨 자는 루터가 아닌 루터의 적수들이다. 루터는 농민전쟁으로 농민으로부터 지지를 잃게 되었고 에라스무스와의 논쟁으로 인문주의자와 결별하게 되었다. 늦어진 이유: 칼슈타트와 논쟁, 농민전쟁.
1526. 2. Erasmus는 이에 대해 답변한다 : `방패(Hyperaspistes)`. 이에 대해 루터는 더 이상 답변하지 않았다. 루터는 이에 반박하는 글인 “종의 의지”(De servo arbitrio)를 1525년 9월에 쓰기 처음 하여 그해 11월에 완성하여 12월에 발행하였다. 대신 에라스무스에게 자신의 격렬함에 대해 사과를 했다.
,인문사회,레포트
순서
종교개혁사2
레포트/인문사회
I. 歷史에 나타난 루터의 모습과 최근의 루터연구동향
II. 루터의 성장과정. 수도원의 입회까지(1483-1505)
III. 루터의 수도원 입회부터 박사학위까지(1505-1512)
a) 수도사 생활과 사제 서품
b) 신학공부와 비텐베르크에서의 도덕철학 강사
c) 에어푸르트로 귀환. 로마 여행
d) 비텐베르크 대학의 성서신학 교수직과 박사학위
IV. 루터의 초기 강의들과 소위 말하는 종교개혁적인 인식의 출현
a) 루터의 초기 신학 개요
b) 종교개혁적인 신학의 발견에 대한 연구 내역
c) 논쟁들
1) 사면부 논쟁
① 사면부(indulgentia)의 歷史
② 사면부 판매의 배경
③ 루터의 사면부 논쟁(95개 논제)
④ 루터에 대한 로마 카톨릭의 반박
d) 토론들과 1520년의 글들에 나타난 종교개혁적인 신학
e) 보름스 제국의회(1521)
① 보름스 의회에서 황제 앞에 선 루터
② 1521년 보름스 제국의회 이후의 상황
V. 바르트부르크 기간(1521/1522)
a) 상황과 저술들
b) 비텐베르크의 소요
VI. 예배의 개혁과 사회적인 개혁들
a) 예배의 개혁
b) 사회적인 개혁
VII. 소위 말하는 종교개혁의 좌파
a) 칼슈타트라 불리우는 안드레아스 보덴슈타인(대략 1480-1541)
b) 토마스 뮨처(대략1490-1525)
VIII. 츠빙글리(Huldreich Zwingli, 1484-1531)와 스위스의 종교개혁
a) 츠빙글리의 성장과정과 신학사상
b) 재세례파와 영성주의자들
IX. 종교개혁의 위기의 해 1525년
a) 루터와 에라스무스
b) 농민전쟁
X. 종교개혁의 지역적인 성립(1526-1530)
a) 정치적인 상황
b) 루터교의 초창기 지역교회
c) 성찬논쟁
d) 제2차 슈파이어 제국의회 결정에 대한 항거(1529)
e) 아욱스부르크 제국의회(1530)
XIII. 1530년 아욱스부르크 제국의회 이후부터 1555년 종교 평화협약 이전까지의 종교개혁사
a) 슈말칼덴 동맹
b) 프로테스탄티즘의 지역적인 확대
c) 뮨스터의 재세례파 왕국의 파국
d) 1536년의 비텐베르크 신앙일치서
e) 공의회 계획들과 슈말칼덴 조항
f) 종교회담들
g) 슈말칼덴 동맹의 무력화와 슈말칼덴 전쟁
h) 아욱스부르크 가협정(Interim)과 작센의 모리츠(Moritz von Sachsen) 하의 정치적 선회
XIV. 칼빈주의
a) 칼빈의 생애(1509-1564)
b) 칼빈의 신학에 있어서 근본적인 관점들
c) 칼빈의 제네바에서의 활동
d) 기독교 강요의 형성
e) 서유럽에서 칼빈주의의 확산
1) 프랑스
2) 네덜란드
3) 스코틀란드
XV. 영국 성공회의 성립
a) 영국성공회의 처음
b) 영국에서 새로운 정신적인 사조
c) 올리버 크롬웰(Oliver Cromwell, 1599-1658)
d) 영국국교회의 공고화
XV. 종교개혁 이후의 로마 카톨릭 교회
1. 카톨릭의 개혁과 반종교개혁
2. 트렌트 공의회(1545-1563)
3. 로욜라와 예수회
IX. 종교개혁의 위기의 해 1525년
a) 루터와 에라스무스
루터와 에라스무스의 자유의지 논쟁
1525년은 루터의 생애의 위기의 해였다.